기사 메일전송
문래동 “대변신” 철공소 1천279곳 통이전 추진 - 4차산업 유치해 신경제 중심지로 육성
  • 기사등록 2023-06-10 09:11:46
기사수정

                              문래동 기계금속 집적지 전경


서울 영등포구(구청장 최호권)는 문래동 철공소 1천279곳을 서울 외곽이나 수도권 인근으로 한꺼번에 이전하는 대형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8일 밝혔다.

 

이를 위해 구는 '문래동 기계 금속 집적지 이전 타당성 검토 및 기본 계획 수립 용역'에 착수했다. 문래동 공장들이 본연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최적의 장소를 선정해 일괄 이전을 추진할 방침이다.

 

문래동 기계 금속 집적지는 '설계도만 있으면 탱크도 만든다'는 말이 나올 정도의 장인들이 모여 있는 서울의 마지막 남은 뿌리 산업 중심지다.

 

1980년대부터 신도림역과 영등포역 사이 경인로를 중심으로 수도권 정비계획에 따라 세운상가 등 도심 제조업체가 이전하며 형성되었고 1980∼90년대 2천500여개가 넘는 관련 업체가 모여 전성기를 누렸으나 지금은 개발 압력과 임대료 상승, 산업구조의 변화 등으로 인해 문래동 1∼4가를 중심으로 1천279개 업체만 남았다.

 

90% 이상이 임차 공장이고 금속가공제품제조업이 1천3개로 전체의 75.8%를 차지한다. 이어서 기타기계·장비제조업 15.1%, 1차 금속제조업 5.8%, 철강자재 도소매 3.3% 순이다.

 

구에 따르면 연결 공정이 중요한 기계금속 산업 특성상 일부 공정의 폐업 또는 지방 이전은 인근 사업체의 비용 상승으로 이어져 전체 업종의 위축을 가져왔다.

 

구 관계자는 "명맥을 잇고는 있지만 '버틸 수 있는 한계에 이르렀다'는 말이 나온 지 오래"라며 "사전 여론조사를 한 결과 700곳 이상의 업체에서 이전을 찬성했다"고 전했다.

 

지난달 31일 열린 '문래동 기계금속 집적지 이전 타당성 조사 검토 및 기본 계획 수립 용역' 착수 보고회에 참석한 최호권 영등포구청장.


이번 용역은 지역사회연구원과 한국산업관계연구원이 맡았고 실태 조사와 비교 분석, 이전 규모와 비용 추계, 이전 후보지 선정 평가 지표 개발, 이전 사업비 확보와 인센티브 부여 방안 등을 검토한다.

 

용역의 신뢰성을 높이고자 구청과 외부 전문가, 이해관계자 등 10명으로 구성된 용역 자문단도 운영하고 10월에 용역이 완료되면 관련 자료를 토대로 국회와 관계 부처, 서울시 등을 설득해 이전 작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최호권  영등포구청장은 "문래동 기계금속 집적지 이전은 뿌리산업 보호와 도심 환경 개선, 이전 지역 일자리 창출 등 1석 3조의 효과가 있는 사업"이라며 "이전 후 문래동 부지에는 4차산업 관련 시설을 유치해 여의도 부럽지 않은 신경제 중심지로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3-06-10 09:11:46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많이본뉴스
게시물이 없습니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